박근혜 대통령이 9월 23일 뉴욕 유엔(UN)본부에서 반기문 사무총장 주재로 열린 유엔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정책브리핑
“각국 지도자 여러분,
2100년까지 2도씨 상승 억제라는 인류의 공동의 목표를 이루려면,
모든 나라들이 자국의 역량과 여건에 부응하는 기여를 해야만 합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 이후 새로운 기후체제 하에서의 기여 방안을
내년 중에 제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중략)
기후변화협약체제 하에서 중추적 재원기구로 출범한
GCF에 대한 조속한 재원충원은
2015년 새로운 기후체제가 출범할 수 있는 중요한 동력인만큼,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GCF에 약 5천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하여
출연하고 있고, 이를 포함하여 앞으로 최대 1억 달러까지
GCF에 대한 기여를 계속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새 정부도 기후변화 대응을 국정과제의 하나로 선정하고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와 약속한대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2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0%로 설정하고, 부문별로 감축실적을 점검하는 등 목표 이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적극 지원하고, 특히 녹색기후기금의 성공적 정착과 발전을 적극 뒷받침해 나갈 것입니다.
개도국들의 실정에 맞게 적은 예산으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이 제공되도록 지원하고, GCF유치 시에 약속한대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능력배양을 위해 지원할 것입니다.
그리고 소극적인 기후변화 피해방지를 뛰어넘어 기후변화를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는 혁신적 경제발전 모델을 제시해 나갈 것입니다.
기후변화라는 새로운 도전은, 적극적으로 생각하면 새로운 가치와 새로운 시장, 그리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2013.12.4. GCF 사무국 출범식 축사)
“환경과 산업이 조화롭게 함께 가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성장이 어려운 시대입니다. 기후변화 협약, 온실가스 감축 등이 당장은 우리 산업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서 더 큰 국익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반 산업분야, 에너지 분야와 협력해서 국민의 삶도 지키고 경제도 발전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들을 찾기 바랍니다.” (2013.3.11. 국무회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류의 미래를 위해서 반드시 지켜나가야 될 과제입니다. 환경 분야에 창조경제를 접목해서 환경기술을 업그레이드 해 나간다면 온실가스를 줄이면서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련부처들과 창의적인 협업을 통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어주기 바랍니다.” (2013.4.4. 환경부 업무보고)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에 대해 기업들에게 계속 부담이 되면 지키기도 어렵고 기업도 힘들어지게 됩니다. 과학기술과 외국 성공사례를 활용해서 배출가스를 줄이는 데 하나의 시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감축을 하는데 필요한 과학기술로 인해 새로운 수요와 시장이 생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3.4.15. 대수비)
“앞으로 대한민국에서 유엔이 빈곤퇴치, 인권신장,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는 전 세계에 꼭 필요한 일을 해나가는데 힘을 합하고 같이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2013.5.7. 유엔 근무 한국인 직원 격려)
“GGGI(글로벌녹색성장기구)가 국제기구로 완전히 자리 잡고 개도국들의 기후변화대응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계속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2013.6.10. 라스무센 GGGI이사회 의장 접견)
자료=청와대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