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은 답이 아니다

‘안전’하다고만 하지 말고, 재앙에 대비하라!


‘1억년에 한 번 일어날 가능성’


후쿠시마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이렇게 낮게 평가됐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할까. 원전은 안전하니까 크게 잘못될 일은 없다는 원전 산업계의 믿음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다. 27년 전 체르노빌이 겪었던 끔찍한 참사는 극히 예외적인 사건이며 이제 원전의 위험은 거의 완벽한 통제 아래 놓여있다는 ‘자신감’마저 엿보인다. 하지만 2011년 3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현실로 나타났다.


만약 일본 후쿠시마가 아니라 한국의 부산 또는 경주였다면? 괜한 공포감이나 괴담을 퍼뜨리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정부와 원전 업계 사이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이 시민들의 불안과 너무 먼 거리를 두고 있어 보인다. 한국의 원전을 운영하고 이를 관리 감독하는 당국의 현실 인식과 태도는 후쿠시마 사고를 겪기 이전의 일본 상황과 꼭 닮아있다.


국민 안전보다는 업계의 이익과 기득권만을 우선 고려하는 사고 방식도 그렇다. 조석 한국수력원자력(주) 사장은 2010년 지식경제부 2차관을 지내던 당시 “(월성 1호기) 연장 허가가 나는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수리비용으로) 7천억 원 돈부터 집어넣지 않았나”라며 “우리 원자력계 일하는 방식 있지 않나. 시동연장 안되면 실제로 큰일난다. 만약 시동연장을 못해봐라. 관계되는 분들 중에 연말에 애보러 가야하는 분들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핵발전소 사고 재난을 경고하는 영상 'What if...' 촬영 장면. 사진=이지언/환경운동연합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원전인 월성1호기는 30년의 설계수명을 끝내고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영구 폐쇄되진 않았다. 고리1호기처럼 추가로 10년을 더 연장할지 심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달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본격적으로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 심사를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하지만 원전 안전성 관련 기본 보고서는 공개되지 않은 채 폐쇄적인 논의에 갇혀있다. 


이런 가운데 원전사고의 경고 메시지를 담은 영상물이 환경운동연합의 시민 프로젝트로 제작된다. 이 영상물은 대규모 원전 사고 가능성을 일축하는 당국의 무성의를 고발하고 갑작스런 사고로 시민들이 대피하며 혼란을 겪는 상황을 연출했다. 지난 6월 환경운동연합 회원 4백여 명이 회원대회를 열고 원전과 불과 1킬로미터 떨어져있는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해수욕장에서 촬영에 참가했다. 지난달 ‘원전 재앙이 현실이 된다면’이라는 의미를 담은 ‘What if...’라는 제목으로 예고편이 공개됐다. 영상 제작비 모금이 온라인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3만원 이상 후원자는 노후원전폐쇄 캠페인 티셔츠를 받을 수 있다. http://socialfunch.org/whatif



관련글

2013/04/11 - 서경식 “인권 심각히 침해하는 핵 재앙, 전쟁과 같다”

2011/06/15 - 핵 재앙의 그늘, 한 사진작가의 기록

2011/05/23 - <영원한 봉인> 또는 100,000년간의 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