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노후원전 LOCK 페스티발] 우리 집이 위험하다 기타로 낼 수 있는 음색이 상당히 다채롭다. 손톱 끝으로 줄을 쭈욱 긁거나 한 줄씩 다듬어내는 소리가 흡사 가야금 같다가도 손바닥으로 몸통과 줄을 둔탁하게 두드리니 타악기다. 기타는 노래를 단지 받쳐주기 위한 반주가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연주가 되었다. 그래서 자신을 싱어송라이터로 소개한 뮤지션 미정은 ‘기타리스트’로 불리는 편이 더 어울릴 것 같다. 그가 연주하는 을 들어보면 그렇다. 상당히 거친 스트로크 덕분인지, 마지막 곡을 연주하기 전에는 느슨해진 줄을 조율해야만 했다. 젊은이들로 몹시 붐비는 ‘불금’의 홍대 거리를 뚫고 찾아간 곳은 ‘나비나방’이었다. 계단을 내리가니 땅굴이나 벙커를 연상시키는 지하 세계가 숨어있었다. 드문드문 떨어진 촛불과 알전구만이 엷은 빛을 내며 어둠을 버티고 있었다. .. 더보기
기후변화: 열병을 앓는 지구에 휴식을! 아래는 9월 19-23일 뉴욕에서 열리는 기후 정상회의 관련 국제 시민사회단체의 공동 성명서입니다. 지구가 앓고 있는 기후변화라는 '열병'을 치료하기 위해선 이익만을 앞세운 자연에 대한 착취를 당장 멈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각국 정상들에게 전달되길 바랍니다. [September 19 – 23, New York] When we, as human beings, get a fever, we immediately get worried and take action. After all, we know that if our body temperature rises to 1.5ºC, let alone 2ºC [3.6 ºF] above the normal average, there can be severe damage, .. 더보기
‘안전’하다고만 하지 말고, 재앙에 대비하라! ‘1억년에 한 번 일어날 가능성’ 후쿠시마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이렇게 낮게 평가됐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할까. 원전은 안전하니까 크게 잘못될 일은 없다는 원전 산업계의 믿음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다. 27년 전 체르노빌이 겪었던 끔찍한 참사는 극히 예외적인 사건이며 이제 원전의 위험은 거의 완벽한 통제 아래 놓여있다는 ‘자신감’마저 엿보인다. 하지만 2011년 3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현실로 나타났다. 만약 일본 후쿠시마가 아니라 한국의 부산 또는 경주였다면? 괜한 공포감이나 괴담을 퍼뜨리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정부와 원전 업계 사이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이 시민들의 불안과 너무 먼 거리를 두고 있어 보인다. 한국의 원전을 운영하고 이를 관리 감독하는 당국의 현실 인식과 태도는 후쿠시마 사.. 더보기
7가지 그래프로 보는 핵발전 산업의 '흥망성쇠' 전 세계적인 가동 핵발전소 감소와 그에 따른 설비용량과 전력 비중의 하락, 건설기간의 연장과 운영비 증가, 풍력과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가능에너지의 급격한 성장… 7월말에 발표된 2014년판 핵산업 동향 보고서는 여러 통계와 자료를 통해 쇠퇴기에 접어든 핵발전 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매년 발간되는 이 보고서는 학계, 산업계는 물론 반핵과 찬핵 진영의 광범위한 자료를 토대로 장기간의 객관적인 통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래는 7가지 그래프로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클릭하면 확대). 1) 핵발전 생산량은 2005년 이후 감소 1990년대 증가세를 보였던 핵발전량은 2005년 2,660 TWh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3년 2,357 TWh로.. 더보기
운영비 급증, 재생에너지 맹추격… 설 곳 잃는 핵산업 2014년 ‘세계 핵산업 동향 보고서’ 분석 국가 주도의 강력한 정책에 따라 핵발전이 강세를 보이는 한국과 달리, 세계로 눈을 돌려보면 핵발전 산업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소 운영비용의 증가와 후쿠시마 재앙, 재생가능에너지의 맹렬한 추격으로 인해 핵발전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핵발전이 에너지 공급에서 담당하는 몫도 크게 줄어, 전력 비중의 17.6%로 최대치를 기록했던 1996년 이후 하향세를 보여 2013년 현재 10.8%로 나타냈다. 이는 지난 7월말 발표된 2014년판 ‘세계 핵산업 동향 보고서’가 담은 주요 내용이다. 이번 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적으로 핵발전소 가동수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지난 7월 기준, 31개국에서 가동 중인 핵발전소는 총 388기로.. 더보기
배출권거래제, 순조로운 출항 전부터 좌초 위기? 내년 1월로 예정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행을 눈앞에 둔 가운데 정부가 준비를 위한 법적 시한을 넘기면서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 배출권거래제법에 따라 제도 시행 6개월 전인 6월30일 전까지 배출권 할당계획이 마련돼야 하지만, 이미 기한을 2개월 이상 넘기도록 확정되지 않고 있다.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올해 1월 국무회의에서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 확정된 데 이어 5월말에는 환경부가 배출권 할당계획안을 내놓았다. 그럼에도 기획재정부장관이 지금까지 할당위원회를 개최를 하지 않고 수차례 연기해왔다. 할당계획 확정이 미루어지면서 7월31일까지 완료됐어야 할 할당대상업체 지정도 무산됐다. 법령이 정한 절차를 정부 기관이 잇따라 위반한 셈인데, 사회적 토론과 여야 합의에 따른 국회 입법권을 명백히 침해했다는.. 더보기
[사진]'찢어진 핵우산' 퍼포먼스… 국민 생명보다 핵산업계 이익이 우선인가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치 덩어리' 핵발전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환경운동연합은 오늘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노후 핵발전소 즉각 폐쇄를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비가 오는 날씨에서 활동가와 여성위원회 회원들로 구성된 참가자들은 방사능 모양으로 찢어진 '핵 우산'을 들고 국민의 생명보다는 핵산업계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정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를 풍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30년 넘게 수명을 넘겨 가동하고 있는 노후원전 부산 고리1호기와 수명연장 결정을 앞두고 있는 월성1호기는 이제 그만 폐쇄하는 것이 안전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환경운동연합은 성남, 안양, 천안, 대전, 대구, 창원, 경주, 포항, 횡성 등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노후원전 폐쇄를 요구하는 퍼.. 더보기
오늘부터 송주법 시행 "갈등 부추기는 역효과" 우려 밀양 송전탑 사태를 계기로 마련된 송·변전시설 주변지역 보상과 지원법률이 오늘부터 시행된다. 이번 법이 송전탑 입지 갈등을 풀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기대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오늘자 는 '송주법 갈등 우려된다'는 제목의 오늘자 사설을 통해 "송전탑이나 변전소 건설에 이전보다 좀 더 나은 보상을 할 수 있다는 법률적 근거는 마련되었으나 갈등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보다 포괄적이고 전면적인 보상체계를 갖추지 않는 한 국가도 한전도 주민도 영원히 피해자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와 한전이 불완전한 법으로 지금까지 해왔던 것에 더해 무리한 송전탑 건설을 강행할 경우 사태는 점입가경으로 번질 가능성도 농후하다"하다고 꼬집었다. 송주법의 한계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전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