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살림

“아이의 생존을 정부에 맡기지 마라”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절대 끝난 것이 아닙니다. 방사성 세슘은 600년 이상 독성이 사라지지 않죠. 우유나 녹차를 비롯한 일본산 수입 식품에 대해 정부가 방사능 오염을 조사해야 하지만, 그러지 않고 있습니다.” 세계적 반핵운동가인 헬렌 캘디콧(사진)은 한국 청중을 향해 단호한 목소리로 말을 이었다. “그래서 시민방사능감시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의 한 손에는 체르노빌 핵 사고 이후 다리나 팔 없이 태어난 아이들의 사진이 들려있다. 호주 출신의 소아과 의사이자 노벨평화상의 수상 단체인 '사회적 책임을 위한 의사회(Physicians for Social Responsibility)'의 공동창립자인 캘디콧은 방사능의 의학적 위협을 전통적으로 무시해오던 정부와 핵 산업계의 독점적 해석에 맞서 시민들.. 더보기
한살림, 방사능 독자기준치 마련 방사성 세슘 기준 성인 8Bq/kg, 영유아 4Bq/kg 국가기준치는 370Bq/kg… 방사능 기준치,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 조합원 30만 명의 최대 생활협동조합인 한살림연합이 국가 기준보다 90배 낮은 방사성 물질 기준치 마련에 합의했다. 한살림은 지난 8월 23일(목) 열린 이사회에서 방사성 세슘에 관한 독자 기준치를 논의해, 성인과 영유아 품목의 취급 기준을 각각 킬로그램당 8베크렐과 4베크렐로 정했다. 한살림의 이번 결정은 3월말 국내산 표고버섯에서 처음으로 세슘이 검출된 이후 생협에서 본격화된 방사능 자체 기준 마련 과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탈핵신문 제2호 ‘생협 ‘표고버섯 세슘 검출’ 방사능기준 마련 고심’ 기사 참고). 관련글 2012/08/13 - ‘세슘 표고버섯’ 검출 .. 더보기
‘세슘 표고버섯’ 검출 이후 방사능기준 마련에 고심하는 생협 방사능 식품 오염, 국내도 낙관할 수 없다 후쿠시마 사고 발생 1년이 지난 올해 상반기 실시된 여론조사를 보면, 방사능을 우려해 일본산 수입 식품을 구매하기 꺼리는 사람이 대대수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는 느슨한 방사능 검역 체계에 대한 비판을 감수하며 일본으로부터 식품 수입을 고수해왔다. 일본산 수산물에서 방사성 세슘의 검출 횟수가 늘어갔지만, 검출된 방사능이 기준치 이하의 미량이라며 ‘불분명한 근거로 특정 국가로부터 수입을 중단하면 통상마찰의 소지가 된다’는 식의 해명이 반복됐다. 이웃나라에서 발생한 전례 없는 대량의 방사능 유출 사고로 국내에서도 지난해 3월말부터 4월 중순까지 공기와 빗물에서의 방사능 농도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4월 7~8일 ‘방사능 비’가 내린 뒤 농림수산식품부가 국내 농산물에 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