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비상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③] 녹색 철강은 비싸고 지불 의사가 낮다? 오해: 그린 철강은 비싸서 고객들이 비용 부담을 하지 않을 것이다. 자동차 제작사, 소비재 생산자, 기기 공급자와 같은 철강 소비 기업들이 공급망의 탈소 감축을 목표로 제시하면서 그린 철강 수요는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특히, 그린 철강에 대한 수송 부문의 수요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자동차 제작사가 전주기 이산화탄소 감축 규제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저탄소 철강의 생산 비용이 높지만, 점점 더 많은 고객들이 가격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저탄소 철강을 2030년까지 50%, 넷제로 철강을 2050년까지 100% 사용하겠다는 글로벌 공개 선언 이니셔티브인 스틸 제로(Steel Zero)에 오스테드, 바텐팔, 볼보를 비롯한 40여개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린 프리미엄의 비율은 최.. 더보기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②] 석탄에서 전력으로 1. 석탄에서 깨끗한 전력으로의 전환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 이행은 석탄에서 전력으로 대대적인 전환에 달려 있습니다. 석탄의 대체 연료인 수소 생산과 철 스크랩 기반의 전기로에 필요한 전력 공급은 필수적입니다. 수소 생산과 전력 공급을 비롯한 업스트림 생산 단계에서 탈 화석연료화가 이뤄져야 합니다. 2. 석탄 기반 철강 생산 기술의 단계적 감축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인 석탄 기반의 철강 생산 기술에 신규 및 추가적 투자가 이뤄져선 안 됩니다. 고로의 조기 폐지 및 좌초자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고로의 단계적 폐지 계획이 수립돼야 합니다. 3. 철 스크랩 이용 확대 및 자원 효율화 철 스크랩은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철강은 자원 순환 측면에서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철 스크.. 더보기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①] 철강은 또 하나의 석탄발전소? 철강의 탄소 발자국 철강 생산은 중공업 중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철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3.7기가톤으로,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0%를 차지합니다. 철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이유는 석탄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철강 생산은 석탄 연소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탄소 집약적입니다. 철광석으로부터 철강을 생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석탄을 사용하는 고로(blast furnace)와 전로(basic oxygen furnace) 공정입니다. 2021년 19억5천만 톤의 철강을 생산한 이 공정이 전 세계 철강 생산량의 73%를 차지합니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이 규모의 철강을 생산하기 위해 소비된 .. 더보기
[기고] 철강 불모지 신화, 탄소중립에서도 재현되길 올여름 경북 포항제철소 외곽에 2m 높이의 콘크리트 벽이 생겼다. 포스코가 태풍에 대비해 만든 차수벽이다. 지난해 9월 포스코는 역대급 규모의 태풍 힌남노로 49년 만에 처음 시설 가동을 중단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2조원 이상의 손실과 인명 피해를 낸 기후재난을 또 겪지 않겠다며 내놓은 방지대책이 바로 이 차수벽이었다. 힌남노가 바꾸어 놓은 것은 비단 포항제철소 풍경만은 아니었다. 코로나19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던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도 극적으로 감소했다. 탄소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의 2022년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가량 준 영향이 컸다. 환경부 자료를 보면, 포스코가 지난해 국가 총 온실가스 감축분에 기여한 비중은 35%에 달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감축은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 더보기
‘탄소 감축목표 낮춰라’ 대통령이 힌트 주니 산업계가 맞장구 재생에너지 투자 축소, 사업 좌초 위기… 윤석열 정부의 후퇴하는 기후 대책 “우리가 과거 탄소중립 감축 목표를 국제사회에 제시했는데 국민과 산업계에서 어리둥절한 바 있다.” 10월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진행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오찬 간담회에서 나온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다. 이어 윤 대통령은 “과학적 근거도 없고 산업계의 여론 수렴이라던가 (하지 않고) 로드맵도 정하지 않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국제사회에 제시한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겨냥한 말이다. 윤 대통령은 ”국민 부담이 어떤 것인지 과연 제대로 짚어보고 한 것인지 의문“이라며 목표 수준과 절차 모두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다만 ”어찌 됐든 국제사회에 약속은 했고 이행해야 한다“며 .. 더보기
한국 '기후변화대응지수' 60개국 중 최하위 윤석열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와 2030년 온실가스 40% 감축 목표를 준수하겠다고 밝혔지만,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성적은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 결과가 발표됐다.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제2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가 진행 중인 14일, 저먼워치, 뉴클라이밋연구소, 기후행동네트워크(CAN)는 ‘2023 기후변화대응지수(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를 발표했다. 한국의 ‘2023 기후변화대응지수’는 총 60개 평가 대상 국가(59개국 및 유럽연합) 중 60위로,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나타냈다. 지난해 국제사회에 제시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상향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됐지만, 새 정부가 재생에너지 목표를 크게 하향하는 방안에.. 더보기
석탄발전 절반 줄인다면서… 이행 정책은 묵묵부답 환경급전 시행 3년, 환경비용 비중 3% 미만으로 효과 미미 환경비용 현실화, 석탄발전 총량 감축제 도입해야 시장에서 판매되는 두 종류의 상품이 있다. 기능은 비슷한 반면 가격은 상품 A가 B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A를 우선 구매하고 부족한 경우 B로 충당한다. 그런데 상품 A를 만드는 과정이 B에 비해 환경오염을 더 많이 유발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오염으로 인해 공기와 물이 나빠져 사람들이 질환을 앓고 치료비를 내야 하는 비용이 상당하지만, 이런 비용은 지금까지 제대로 평가되지도 않았고 판매자가 부담하지도 않았던 것이다. 시장에서 상품A의 판매는 여전히 지배적이다. 사람과 생태계가 감수해야 하는 ‘지불되지 않은’ 부담은 늘어만 간다. 경제학에서 설명하는 ‘외부비용’의 개념이다. 어떤 .. 더보기
환경급전 시행 3년, 석탄발전의 환경비용 비중 3%에 불과 대기오염·탄소 비용 일부 반영됐지만, 탈석탄 효과 미미 환경운동연합 “환경비용 현실화, 석탄발전 총량 감축제 도입” 촉구 발전 단가에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비용을 반영하는 ‘환경급전’ 제도가 시행된 지 3년을 맞았지만, 환경비용이 석탄발전의 발전단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가 채 되지 않아 ‘탈석탄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운동연합은 현행 제도로는 탄소중립과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석탄발전 감축 이행에 한계가 있다면서 환경비용 현실화와 석탄발전 총량 감축제 도입을 촉구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석탄발전의 평균 열량단가는 7월 기준 Gcal당 50,899원으로, 이 중 환경열량단가 224원과 배출권열량단가 1,131원에 해당하는 비중은 2.7%로 나타났다. 2019년 8월부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