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비상/그린 철강

투자자에게 탄소포집 기술 호소했는데... CCUS 사업 좌초, 효과 부풀리기 '먹구름' 탄소포집, 이용 및 저장(carbon capture, utilisation and storage, 이하 CCUS) 기술이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구원투수가 될 수 있을까.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면, 전망은 어둡다.이런 불확실성에도, 일본제철, 아르셀로미탈, 포스코 등 주요 철강사들은 투자자들에게 CCUS 기술을 탄소중립 달성의 중요 수단이라고 호소해왔다. 현재 검토되거나 진행 중인 CCUS 프로젝트들이 실제 상용화될지는 불투명하다.CCUS는 재무적, 기술적, 환경적 리스크에 취약하다는 비판에 시달려 왔다. 낮은 포집율은 핵심 이슈다. CCUS 프로젝트가 목표로 제시하는 포집율이 배출원의 배출량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도 한계지만, 이런 낮은 목표조차 달성하는 사례도 드물다.단적.. 더보기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③] 녹색 철강은 비싸고 지불 의사가 낮다? 오해: 그린 철강은 비싸서 고객들이 비용 부담을 하지 않을 것이다. 자동차 제작사, 소비재 생산자, 기기 공급자와 같은 철강 소비 기업들이 공급망의 탈소 감축을 목표로 제시하면서 그린 철강 수요는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특히, 그린 철강에 대한 수송 부문의 수요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자동차 제작사가 전주기 이산화탄소 감축 규제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저탄소 철강의 생산 비용이 높지만, 점점 더 많은 고객들이 가격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저탄소 철강을 2030년까지 50%, 넷제로 철강을 2050년까지 100% 사용하겠다는 글로벌 공개 선언 이니셔티브인 스틸 제로(Steel Zero)에 오스테드, 바텐팔, 볼보를 비롯한 40여개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린 프리미엄의 비율은 최.. 더보기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②] 석탄에서 전력으로 1. 석탄에서 깨끗한 전력으로의 전환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 이행은 석탄에서 전력으로 대대적인 전환에 달려 있습니다. 석탄의 대체 연료인 수소 생산과 철 스크랩 기반의 전기로에 필요한 전력 공급은 필수적입니다. 수소 생산과 전력 공급을 비롯한 업스트림 생산 단계에서 탈 화석연료화가 이뤄져야 합니다. 2. 석탄 기반 철강 생산 기술의 단계적 감축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인 석탄 기반의 철강 생산 기술에 신규 및 추가적 투자가 이뤄져선 안 됩니다. 고로의 조기 폐지 및 좌초자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고로의 단계적 폐지 계획이 수립돼야 합니다. 3. 철 스크랩 이용 확대 및 자원 효율화 철 스크랩은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철강은 자원 순환 측면에서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철 스크.. 더보기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①] 철강은 또 하나의 석탄발전소? 철강의 탄소 발자국 철강 생산은 중공업 중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철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3.7기가톤으로,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0%를 차지합니다. 철강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이유는 석탄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철강 생산은 석탄 연소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탄소 집약적입니다. 철광석으로부터 철강을 생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석탄을 사용하는 고로(blast furnace)와 전로(basic oxygen furnace) 공정입니다. 2021년 19억5천만 톤의 철강을 생산한 이 공정이 전 세계 철강 생산량의 73%를 차지합니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이 규모의 철강을 생산하기 위해 소비된 .. 더보기
[기고] 철강 불모지 신화, 탄소중립에서도 재현되길 올여름 경북 포항제철소 외곽에 2m 높이의 콘크리트 벽이 생겼다. 포스코가 태풍에 대비해 만든 차수벽이다. 지난해 9월 포스코는 역대급 규모의 태풍 힌남노로 49년 만에 처음 시설 가동을 중단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2조원 이상의 손실과 인명 피해를 낸 기후재난을 또 겪지 않겠다며 내놓은 방지대책이 바로 이 차수벽이었다. 힌남노가 바꾸어 놓은 것은 비단 포항제철소 풍경만은 아니었다. 코로나19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던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도 극적으로 감소했다. 탄소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의 2022년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가량 준 영향이 컸다. 환경부 자료를 보면, 포스코가 지난해 국가 총 온실가스 감축분에 기여한 비중은 35%에 달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감축은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 더보기